맨위로가기

부산 도시철도 5호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녹산국가산업단지와 부산 도심을 연결하는 노선으로 계획되었으나, 경제 위기로 인해 계획이 변경되었다. 현재는 사상-하단 구간을 우선 추진하며, 2016년 6월 15일 1단계 구간이 착공되어 2026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연장 6.9km에 7개의 역이 있으며, 무인 자동 운전 방식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은 부산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노선으로 수영역과 대저역을 잇고, 1, 2, 4호선, 부산-김해 경전철, 동해선과 환승이 가능하며, 한국 최초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했고, 현재 부산교통공사 3000호대 전동차로 운영 중이다.
  • 부산 도시철도 노선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은 부산광역시를 운행하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1985년 개통 이후 단계적 연장을 거쳐 노포역과 다대포해수욕장역을 잇는 40개 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되고 시설 개선 사업이 진행 중이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 계획 수립 후 경전철 시스템으로 변경되어 2016년 개통되었으며,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 27개 역을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으로 2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수도권 통합요금제를 적용한다.
  • 대한민국의 경전철 - 양산 도시철도
    양산 도시철도는 2026년 개통을 목표로 11.4km 구간에 7개 역을 갖춘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의 노선으로,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에서 양산시 북정역까지 연결되며 총 사업비는 5,516억 원이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대경선
    대경선은 구미역과 경산역을 잇는 광역철도 노선으로, 2024년 1단계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한국형 열차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고 2량 대형 전동차를 운행하며, 현재 2단계 구간 사전타당성조사가 진행 중이고 일부 교통카드는 호환되지 않는다.
  • 계획 중인 철도 노선 - 월곶-판교선
    월곶-판교선은 인천 송도역에서 시흥시 월곶역을 거쳐 성남시 판교역까지 연결되는 복선 전철 노선으로, 수인선 및 신안산선과 선로를 공유하며 시흥시청역, 광명역, 안양역, 인덕원역, 판교역 등을 경유한다.
부산 도시철도 5호선
노선 정보
노선 이름부산 도시철도 5호선
노선 색상■해운대비치색
기점사상역
종점충무역
노선 길이32.3km
역 수30개
노선 종류도시 철도
운영 기관부산교통공사
개통 예정미정
기술 정보
차량 시스템한국형 표준형 경량전철
신호 시스템자동 열차 운전 장치
궤간1,435mm
선로복선
노선 연혁
계획 발표2000년대 초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2022년 10월
기타 정보
건설 비용약 3조 원
주요 경유지사상구
북구
부산진구
동구
중구
서구
특징부산 도시 철도망의 동서축을 횡단하는 핵심 노선
사상~서면~부산역~영도를 연결
부산의 주요 도심을 통과
김해 경전철과 직결 운행 예정

2. 역사

2016년 6월 15일 부산 도시철도 5호선 1단계 구간이 착공되었다.[7] 2026년에 1단계 구간(사상~하단)이, 2030년에는 2단계 구간(하단~녹산)이 개통될 예정이다.

2. 1. 초기 구상 및 계획 변경 (1990년대 ~ 2000년대)

이 노선은 본래 1990년대에 녹산동~명지동~하단~사상 간의 5호선으로 구상되었으나[1][2], 외환위기 이후 폐기되었다.[3] 2000년대에 들어서 노선의 규격만 중전철에서 경전철로 조정한 ‘사상가덕선’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명지동과 가덕도 일대의 개발 사업이 늦춰짐에 따라 해당 지역의 수요가 적다고 판단되어, 사상~하단 구간 6.9km가 우선 추진되고 있다.

2. 2. 사상-하단 구간 우선 추진 (2010년대 ~ 현재)

이 노선은 본래 1990년대에 녹산동 ~ 명지동 ~ 하단 ~ 사상 간의 5호선으로 구상되었으나[1][2], 외환위기 이후 폐기되었다.[3] 2000년대에 들어서 노선의 규격만 중전철에서 경전철로 조정한 ‘사상가덕선’으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명지동과 가덕도 일대의 개발 사업이 늦춰짐에 따라 해당 지역의 수요가 적다고 판단되어, 사상~하단 구간 6.9km가 우선 추진되었다.

하단-녹산 구간은 2017년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에 포함되었다.[5] 이 노선이 개통된다면 서부산권의 교통난이 많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부산의 주요 간선도로인 낙동대로를 남북으로 바로 이어주는 만큼 하단역의 환승 수요도 상당히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동아대학교 통학 수요도 기대된다. 이 노선이 지나는 곳은 출퇴근 시간대마다 교통난이 매우 심각하다. 노선명·노선색 등은 확정되지 않았으나, 노선명에 대해서는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는 관측이 있다.[6]

연도내용
2016년 6월 15일5호선 1단계 구간 착공[7]
2026년5호선 1단계 사상~하단 개통 예정
2030년5호선 2단계 하단~녹산 개통 예정


3. 노선 정보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1차 계획에 따라 총 연장 6.9km, 7개 역으로 구성되며,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될 예정이다. 무인 자동 운전 방식과 중앙 관제 시스템으로 운영되며, K-AGT 기반 차량이 운행될 예정이다. 2016년 6월 15일에 착공하여 2026년 개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총 사업비는 5.671조이 소요될 예정이다.[8]

구분내용
총 연장6.9km
역 수7개 (전 구간 지하)
운행 방식무인 자동 운전 / 중앙 관제 시스템
운행 차량K-AGT 기반 차량
착공2016년 6월 15일
개통2026년
총 사업비5.671조[8]


3. 1. 노선 특징

부산 도시철도 5호선은 총 연장 6.9km에 7개의 역을 가진 노선으로,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된다. 운행 방식은 무인 자동 운전이며 중앙 관제 시스템을 통해 운영된다. 운행 차량은 K-AGT 기반 차량이 사용될 예정이다.[8] 총 사업비는 567100000000KRW이 소요될 예정이다.[8]

3. 2. 건설 및 운영 계획

2016년 6월 15일에 5호선 1단계 구간이 착공되었으며[7], 2026년에 사상~하단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이후 2030년에는 2단계 구간인 하단~녹산 구간이 개통될 예정이다.

1차 계획에 따르면, 총 연장은 6.9km이며, 역은 7개로 모두 지하에 건설된다. 운행 방식은 무인 자동 운전 및 중앙 관제 시스템을 채택하고, K-AGT 기반 차량이 운행될 예정이다. 총 사업비는 5671억이다.[8]

구분내용
총 연장6.9 km
역 수7개 (전 구간 지하)
운행 방식무인 자동 운전 / 중앙 관제 시스템
운행 차량K-AGT 기반 차량
착공2016년 6월 15일
개통2026년 (1단계: 사상~하단) / 2030년 (2단계: 하단~녹산)
총 사업비5671억[8]


4. 역 목록

거리누적
거리소재지501사상Sasang沙上
0.0부산광역시사상구502새벽시장Saebyeok Market새벽市場503사상스마트시티Sasang Smart City沙上스마트시티504학장Hakjang鶴章505엄궁Eomgung嚴弓506동아대Dong-a Univ.東亞大사하구507하단Hadan下端6.9


4. 1. 사상-하단 구간

부산광역시에서 새벽시장역을 위쪽으로 200m가량 옮기고 학장역 사이에 역 추가를 결정해 변경됐다.[9]

번호역명로마자 역명국한문 역명환승 노선역간 거리누적 거리소재지
501사상Sasang沙上
0.00.0부산광역시사상구
502새벽시장Saebyeok Market새벽市場
503사상스마트시티Sasang Smart City沙上스마트시티
504학장Hakjang鶴章
505엄궁Eomgung嚴弓
506동아대Dong-a Univ.東亞大사하구
507하단Hadan下端6.9


참조

[1] 뉴스 지하철2號線 39개驛 확정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0-03-29
[2] 뉴스 부산驛~影島 해상신도시 地下鐵 노선 白紙化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0-03-29
[3] 뉴스 부산지하철건설 전면 재조정 http://www.busan.com[...] 부산일보 2020-03-29
[4] 뉴스 녹산공단까지 도시철도 뚫린다 http://www.knn.co.kr[...] KNN 2016-05-17
[5] 간행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7-398호 부산광역시 도시철도망구축계획
[6] 뉴스 사상-하단지하철 다음달 15일 첫삽···사실상 5호선 착공 https://news.naver.c[...] 경향신문 2016-12-05
[7] 뉴스 사상-하단지하철 다음달 15일 첫삽···사실상 5호선 착공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16-05-23
[8] 뉴스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완공시점 1년 늦어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7-09-13
[9] 뉴스 부산 도시철도 사상∼하단선 완공시점 1년 늦어져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20-03-30
[10] 저널 부산시, 입체도로(고가.지하도로)에 도로명주소 부여 http://bgtknews.com/[...] 주식회사 코리아문화기획사 2023-09-29
[11] 보고서 부산신항 진입도로 건설공사 대안설계요약보고서 https://policy.nl.go[...]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건설사무소
[12] 웹사이트 부산광역시_도시공간정보시스템 터널 현황, 2015년 도로교량 및 터널현황 https://www.data.go.[...]
[13] 웹사이트 의곡교차로~부산과학산업단지간 도로개설공사 T/K 수행하면서, 보배터널 관리사무소 http://www.yooshin.c[...]
[14] 웹사이트 부산광역시 교통정보서비스센터, 지사-웅동 연결도로 http://its.busan.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